국내 유통 색조화장품 중금속 조사… 카드뮴·니켈 등 모두 기준 이내

담당부서
식품의약품부 화장품연구팀
문의
02-570-3126
수정일
2025-04-18

보도자료 사진

□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이하 연구원)은 국내 유통되는 색조화장품 105건(오프라인 매장 80건, 온라인플랫폼 25건)에 대해 납, 카드뮴, 비소, 안티몬, 니켈 등 유해 중금속 5종을 검사한 결과, 모든 제품이 안전 기준을 충족했다고 밝혔다.

○ 이번 검사는 2025년 1월부터 3월까지 진행됐으며,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되는 립밤(20건), 마스카라(16건), 아이라이너(23건), 아이브로펜슬(21건)과 온라인 플랫폼에서 유통되는 바디페인팅 제품(25건) 등 총 105건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 연구원은 정기적으로 유통 화장품의 안전성을 평가하고 있으며, 지난해 실시한 해외직구 화장품 중 국내 기준 초과 제품과 동일한 유형 중국내 유통 색조 립밤, 바디페인팅 등을 대상으로 중금속 5종을 검사한 결과, 모든 제품이 안전 기준을 충족함을 확인하였다.

중금속 평균 농도

□ 특히, 온라인 플랫폼에서 유통된 일부 바디페인팅 제품에서 카드뮴이 최대 3.6 μg/g 검출되었으나, 이는 「화장품 안전기준 등에 관한 규정」에서 정한 5 μg/g 이하의 기준을 초과하지 않았다. 해당 제품은 수입 제품으로 확인되었으며, 연구원은 소비자들에게 제품 구매 시 신체에 직접 사용하는 제품인 만큼 신중하게 선택할 것을 권고했다.

 

□ 연구원은 앞으로도 지속적인 화장품 안전성 검사를 통해 시민 건강 보호에 앞장설 계획이며, 유해 물질이 포함된 불법·위해 제품에 대한 모니터링을 더욱 강화할 방침이다.

 

□ 박주성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장은 “안전성이 우려된 해외직구 판매 화장품에 대한 불안감으로 인해 국내 유통 화장품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이번 검사를 실시했다”며 “앞으로도 시민 생활 속 안전을 확보하고,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조사하고 결과를 공개할 것”이라고 말했다.

공공누리 제 4유형 : 출처표시, 변경금지, 상업적 이용금지,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상단으로
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