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병 일상 접촉자까지 적극 감시 -인터뷰 정권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장
- 담당부서
- 보건환경연구원 식품의약품부
- 문의
- 02-570-3252
- 수정일
- 2024-07-03
"감염병은 시간과의 전쟁입니다" 정권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장은 지난 9월에 또다시 발생한 중동호흡기 증후군(메르스)과 관련해 "늑장 대응 보다는 과잉 대응이 낫다"는 3년 전의 교훈을 살려야 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서울의 메르스 발생은 지난 16일 세계보건기구(WHO) 기준에 따라 공식 종료됐다.
정 원장은 "지난 9월 22일 밀접접촉자 22명이 확인 검사 끝에 모두 '음성'으로 판정돼 전원 격리해제되면서 메르스는 사실상 종결됐다"며 "그렇지만 WHO 기준에 따르면 지난 16일 종료됐다"고 강조했다.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 9월 8일 4시경 A씨를 메르스로 확진했고, 보건당국은 이날 6시경 이 사실을 발표했다. 그는 "국민들은 지난번과 같은 악몽이 재현될까 걱정했지만, 우려와는 달리 그 대응은 확실히 달랐다" 고 말한다.
2015년에는 초동단계에서 제대로 조치를 취하지 못했다. 당시 첫번째 환자는 병원을 세곳이나 돌아 다니며 진료를 받았고, 확진 발표까지 열흘가량이 걸리면서 28명에게 메르스 바이러스를 전파시켰다. 2015년 12월 23일 보건 당국이 공식 종료를 선언할 때까지 총 186명이 메르스에 감염됐고, 안타깝게도 39명이 생명을 잃었다. 또 감염환자 수보다 약 100배 많은 1만6000여명이 메르스 환자와 직간접적으로 접촉한 것으로 판단돼 격리 조치 됐다.
그는 "메르스 발생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도 컸다"고 말한다. 당시 우리나라가 사우디아라비아에 이어 메르스 발병국 세계 2위를 기록하면서 한국 방문 외국관광객 38%, 여행사 예약은 82%까지 감소했다.
감염병 대응 체계는 2015년 혹독한 대가를 치르고 얻은 경험으로 꾸준히 정비됐다.
정 원장은 "현재 메르스 발생 시 '즉시 검사' 체계로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담당 공무원이 24시간 대기하고 있다"며 "이 검사 시스템을 통해 61번째 의심 환자였던 A씨가 확진을 받은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번에는 의심환자는 물론 밀접 접촉자들을 대상으로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2회에 걸친 검사를 통해 음성 결과를 확인함으로써 빨리 사회가 안정 될 수 있도록 지원했다"고 설명했다.
2015년과 비교해 가장 크게 달라진 점은 밀접 접촉자의 분류 기준이다. 분류 기준 중 2015년에는 환자와 2m 이내에 '1시간 이상 머문 사람'을 기준으로 제시했으나 지난해 개정된 지침에는 환자와 2m 이내 머문 경우, 즉 시간기준이 삭제됐다. 이러한 판단과 체계적인 대응을 통해 메르스 환자와 접촉한 사람 439명 중 22명이 밀접 접촉자로 분류됐다.
특히 밀접 접촉자 뿐 아니라 일상 접촉자까지 전담 공무원을 배치해 매일 증상 발생 상황을 확인하는 능동적인 수동감시를 통해 촘촘한 방역망을 구축한 것은 큰 성과로 꼽힌다.
그는 "확진자가 이용했던 비행기에 함께 탑승한 모든 승객에 대해 추적 조사를 요구하는 적극 감시를 통해 메르스 확산을 막는데 기여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정보를 공개하지 않아 방역에 실패를 했다는 평가를 받은 2015년과는 달리 보건당국은 첫 메르스 양성 검사 결과가 나온 후 2시간 만에 언론에 발표하는 신속함을 보였다"고 말한다.
또한 환자 동선, 접촉자수, 방문 병원 등 관련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했고 구급차 논란 같은 잘못된 보도는 빠르게 해명하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 국민의 불안과 혼란을 막았다.
정 원장은 그러나 "검역 단계에서 환자를 걸러내지 못한 점은 해결해야 할 과제"라며 아쉬움을 전했다. 그는 2015년 메르스 사태 이후 검역관이 증원됐다고는 하나 현재도 직원 1명 당 13만 명의 감염 여부를 확인해야 하는 실정을 꼬집었다.
또 "부족한 검역 인력이 보충된다 하더라고 A씨처럼 감염 증상이 없이 잠복기에 들어온다든지, 대증요법 치료를 받고 들어온다면 검역망은 뚫릴 우려가 있다"고 말하면서 "국민 모두가 검역관이라는 마음가짐으로 협조를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밝혔다.
정 원장은 "보건당국이 감염 위험 나라에 미리 국제보건의료 전문가를 파견해 현지에서 우리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고 감염병의 국내 전파를 예방하기 위한 선제적인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 김두일 기자 dikim@fnnews.com
인터뷰 원문 기사 링크 주소 http://www.fnnews.com/news/201810251650288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