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국립생물자원관 공동대응 전략 심포지엄 참석

담당부서
보건환경연구원 질병연구부
문의
02-570-3415
수정일
2025-04-23

「2025 서울시-국립생물자원관 공동대응 전략 심포지엄」이 최근 기후변화와 도시화에 따른 곤충 대발생으로 생활불쾌곤충 관리방안을 모색하고자 서울시청 후생동 4층에서 2025년 4월 10일 개최되었다. 곤충과 도시생태계(공존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라는 주제로 서울시·환경부, 삼육대학교가 주관·주최하였다. 이에 질병연구부는 곤충 대발생으로 인한 시민불편 해소를 위한 관련 정책 공유 및 협력 강화를 위해 심포지엄에 참석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러브버그, 동양하루살이 등 곤충 대발생에 대한 원인 분석과 효과적인 관리방안을 부처간에 공유할 수 있는 논의의 장이었다. 서울시와 환경부는 관련 정책 공유 및 협력 강화를 통해 시민불편을 해소하고 관리 정책을 선도적으로 수립하는 모범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서울시-국립생물자원관 공동대응 전략 심포지엄 포스터:2025 서울시-국립생물자원관 공동대응 전략 심포지엄(곤충과 도시 생태계:공존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
-현장등록
14:00~14:01 오프닝 (서지영 아나운서)
14:01~14:03 개회사 (김태희 서울시청 시민건강국장)
14:04~14:07 환영사 (서민환 국립생물자원관장)
14:07~14:10 축사 (김영옥 서울시의회 보건복지위원장)
-장소: 서울시청 후생동 4층 강당
-일시: 2025.04.10(목) 14:00-17:00
세션1)발제자 발표 [유행성 생활불쾌곤충의 친환경적 관리방안 모색] 
-좌장 길현종 국립생물자원관 기후환경생물연구과장
14:25~14:40 대발생 곤충 현황 및 관리방안 마련 연구 (박선재 국립생물자원관 연구관)
14:40~14:55 동양하루살이 현황 및 관리 전략 (김동건 삼육대학교 교수)
14:55~15:10 붉은등우단털파리 현황 및 관리 전략 (신승관 서울대학교 교수)
15:10~14:25 머신러닝을 활용한 서울시 모기예보제 예측모델 개발 (이상철 고려대학교 교수)
15:25~15:40 국내외 대발생 곤충 관리방안 연구 (김선주 서울연구원 박사)
세션2) 종합 패널 토론 [곤충과의 지속가능한 공존을 위한 방안] 
-좌장 김동건 삼육대학교 교수
16:00~16:40 패널 토론 (송은철 서울시청 감염병관리과장),(박선재 국립생물자원관 연구관), (신승관 서울대학교 교수), (이상철 고려대학교 교수), (김선주 서울연구원 박사), (최영 서울환경연합생태도시팀장)
16:40~16:55 질의응답
16:55~17:00 폐 회
-주최:삼육대학교
-주관:서울특별시,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심포지엄 포스터

심포지엄 현장모습

심포지엄 현장

공공누리 제 4유형 : 출처표시, 변경금지, 상업적 이용금지,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상단으로
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