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은 올해 봄 대기 중 1㎛(마이크로미터) 이상 미세플라스틱을 분석한 결과, 공원(약 103개/㎥)의 1m3 당 미세플라스틱 개수가 서울 도심(약 238개/㎥) 대비 43.1%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은 미세플라스틱을 포함한 수도권 대기오염 문제에 공동 대응하기 위해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등과 함께 ‘수도권 미세먼지 연구·관리 협의회’를 6.20.(금) 연구원 대회의실(서울시 서초구 양재동)에서 개최하였다고 밝혔다.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은 수도권 미세먼지 연구·관리센터와 협력하여 2023년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대기 미세플라스틱 시험방법의 표준화 및 세미나 공동 개최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협력 체계를 구축하였다.
서울특별시보건환경연구원과 수도권 미세먼지 연구·관리센터는 4월 7일 오후 3시, 연구원에서 ‘수도권 대기 중 미세플라스틱 분석·평가·관리를 위한 지자체 전략 및 협력 방안 마련’을 주제로 공동 세미나를 개최하였다.
연구원은 미세플라스틱 검출과 분석을 보다 신뢰성 있게 수행하기 위한 연구를 지속해왔다. 그 결과, 미세플라스틱 입자포집기(제 10-2623676호, 2024년 1월 8일) 및 미세플라스틱의 다단여과장치(제 10-2744433호, 2024년 12월 16일)를 개발하여 두 건의 특허를 취득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서울특별시보건환경연구원과 수도권 미세먼지 연구·관리센터(이하, ‘센터’)는 '수도권 대기 중 미세플라스틱 분석·평가·관리를 위한 지자체 전략 및 협력 방안 마련'을 주제로 세미나를 4. 7.(월) 15시에 연구원(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재동 202-3)에서 공동 개최하였다.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주요 뉴스 결과 발표
보건환경톡톡 제95호, 2024년 9-10월호
서울특별시보건환경연구원(이하, ‘연구원’)은 '미세플라스틱과 석면: 건강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주제로 한 세미나를 10. 17.(목) 15시에 연구원(서울시 서초동 양재동 202-3)에서 개최한다.
국내·외 미세플라스틱 오염이 새로운 환경 문제로 대두되면서 일회용기, 종이컵, 티백 등을 통한 비의도적인 미세플라스틱 혼입에 대한 우려가 급증하였다. 이에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은 침출차(일회용 티백)에 대해 안전성을 확보하고 티백 차 음용 시 미세플라스틱 섭취 최소화 방법에 대해 정보를 제공하고자 티백의 미세플라스틱을 조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