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릴유는 건강기능식품이 아닌 일반 식품 중 어유로 분류되어있으나, 과장 광고로 소비자들을 현혹시켜 건강기능식품으로 오인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몇몇 크릴유의 경우 다른 식물성 유지가 혼합되어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기도 했다. 따라서 연구원은 시민들에게 크릴유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고자 크릴유의 지표 지방산 분석을 실시하였다.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은 도로변, 공원 등에 있는 가로수 열매의 잔류농약과 중금속 오염에 대한 시민의 불안감을 해소하고자 9월부터 11월까지 은행나무 등 가로수 열매에 대한 안전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 19일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전국 지방자치단체 산하 시험·검사기관 중 최초로 ‘사료검정기관’으로 지정받았다. ‘사료검정기관’은 반려동물의 먹거리 안전 확보를 위해 유통사료 검사를 진행한다. 사료의 유해물질, 부적합 혼합물 등을 검사하여 부적합한 사료의 생산 및 유통을 차단할 수 있다.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은 4월~11월까지 생태공원을 비롯한 도시근린공원을 중심으로 숲모기 감시사업 및 서울시내 25개구 51개 지역에서 유문등을 이용한 모기감시사업을 실시했다. 기간 중 발견된 모기 중 일본뇌염, 뎅기열 등을 전파하는 매개모기는 464개체로 확인되었으며 병원체는 발견되지 않았다.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이 제27회 지방자치단체 정보통신 우수사례 발표대회에서 ‘국무총리상’과 서울시 빅데이터 활용 및 분석 우수사례 경진대회에서 ‘장려상’을 수상하였다.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대기질통합분석센터와 서울대학교 빙권과학교육연구센터는 12월 15일 온실가스 공동연구 체계를 구축하고자 온실가스 농도 및 동위원소 측정 분야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국문, 영문 안내책자 2종입니다. 식품의약품부, 질병연구부, 물환경연구부, 생활환경연구부, 동물위생시험소, 대기질통합분석센터, 강남,강북 농수산물검사소의 세부업무와 연구 시설에 대한 안내가 포함되어있습니다.
보건환경톡톡 제82호, 2022년 7-8월호
11월까지 대학생 대상 보건·환경 분야 연구시설 견학 기회 제공. 식품 방사능 검사, 대기질 모델링 분석 현장 탐방 등 연구사와 대면 질의 응답 진행, 완화된 코로나방역지침을 준수하여 3년만에 대면 프로그램 재개